대구시가 내년에 1조 원 규모의 대구 행복페이를 발행한다. 대구 행복페이는 영세 상인들에게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 있다.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된다. 사용액의 10%를 할인해 돌려주는 형태의 지원은 서민 가계에도 큰 보탬이 된다. 코로나19 장기화 속에 행복페이는 벼랑 끝에 몰린 자영업자들에게도 상당한 의지처가 됐다. 사용처 확대 논란이 없진 않지만 지방 정부의 재정이 허락하는 한 발행 규모 확대가 바람직해 보인다.

대구시는 내년 1월1일부터 1조 원 규모의 대구사랑상품권 ‘대구 행복페이’를 발행한다고 밝혔다. 대구 행복페이는 월 할인 구매한도액은 50만 원, 할인율은 10%다. 월 발행 규모는 1천억 원으로 제한했다. 조기 소진을 막고 연말까지 안정적으로 발행하기 위해서다.

행복페이는 IC 칩을 내장하는 등 기능적으로도 한층 업그레이드한다. 3월부터는 삼성페이 서비스도 시작할 예정이다. 대구 행복페이는 2020년 3천억 원 규모로 처음 발행됐다. 시민 반응이 뜨거웠다. 조기 소진돼 연말 추가 발행하기도 했다. 올해 1조430억 원으로 발행 규모가 늘었다.

효과를 감안, 행복페이 발행 규모를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대전은 내년에 2조 원 규모의 지역화폐를 발행한다. 올해 도 1조9천 억원을 발행했다. 대전 사례를 감안하면 대구는 발행 규모를 더 확대할 수도 있을 터이다.

문제는 할인 금액만큼 정부와 지자체가 보전해 주어야 하는 데 지자체 예산 사정이 어렵다는 점이다. 무한정 확대는 난점이 있다.

지역 화폐의 효과는 크다. 대전의 경우 올해 생산유발효과 9천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4천900억 원, 지역 내 취업 유발효과 1만4천 명으로 분석됐다. 지역화폐가 지역 경제 회복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셈이다.

사용처 확대는 과제다. 제주의 경우 지역화폐의 하나로마트 사용 확대 문제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소상공인 보호를 위해 허용 매장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주장과 확대해야 한다는 농협의 입장이 맞서고 있다. 대구에서도 논란 소지가 없지는 않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폐업 위기에 몰린 자영업자들이 아우성이다. 대구시가 정부 지원 축소에도 불구, 시비를 추가 투입해 행복페이 1조 원 발행 규모를 유지하기로 결정한 것은 자영업자 살리기가 주 배경이다. 대구시는 내년 상황을 보아가며 행복페이 발행의 추가 확대 등도 고려하길 바란다. 또한 행복페이가 침체된 지역의 골목상권을 살리는 데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홍석봉 기자 dgh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