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자산관리 연구소 이진우 소장
▲ 부동산자산관리 연구소 이진우 소장


주요 상권이 길로 바뀌고 있다. 국내 주요 상권은 도심이나 역세권을 중심으로 포진해 있었다. 도심이나 역세권은 만남의 장소로 각인되며 유동인구가 풍부해 주요 프랜차이즈의 각축장이 됐다.

상권이 커지면서 업종의 중복과 임대료 상승으로 인해 개인들은 살아남기가 어려워지며 주변 상권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생겨난 주요 상권이 길 상권이다.

길 상권으로 가장 먼저 생겨난 것이 서울 강남의 세로수 길이다.

강남구 신사동의 높은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한 임차인들이 이면 도로로 밀려나며 새로운 상권을 형성한 것이 세로수길이다.

기존 신사동 상권이 패션, 대형프랜차이즈 상권과 달리 소규모 카페 등이 모여 새로운 상권을 형성하게 된다. 이태원의 경리단길도 대표적인 길 상권이다. 육군중앙경리단에서 명칭이 유래됐으며 여기도 이태원 상권이 대형화되면서 밀려난 임차인들이 자리를 잡으면서 상권이 발달됐다.

이러한 길 상권은 서울뿐 아니라 지방도 자리를 잡게 되는데 대구의 김광석거리나 경주의 황리단길, 김해의 봉리단길이 대표적인 길 상권이다.

길 상권은 초기 전용 상가보다는 이면 도로의 상가 주택이나 주택을 개조해 점포들이 자리잡으며 명소로 성장했다. 이러한 상권은 주로 카페나 브런치, 디저트 카페 등이 자리 잡으며 새로운 상권을 형성했다.

과거에는 변두리에 불과한 상권이 이제는 전국의 대표 상권으로 성장했다. 주요 길 상권은 대기업 프랜차이즈나 도심 상권과 달리 경쟁에서 밀려난 영세 상인들이 만든 상권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권도 최근에는 대규모 자금들이 유입되며 대형 프랜차이즈들이 입점하며 길 상권의 모습이 퇴색되고 있다.

도시는 유기체와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다. 상권은 성장하고 몰락하고 다시 성장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상권이 성장하면 먹고 즐기수 있는 거리로 성장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상권의 성장은 다시 임대료의 상승을 가져와 영세 사업자를 내몰 수 있는 상황도 연출할 수 있다.

역설적으로 새로운 명물 상권으로 성장하면 상권을 만든 분들이 내몰릴 수도 있다는 불안감을 키울 수도 있는 것이 현실이다. 최근 길 상권의 공통점은 초기에는 임대인과 임차인들의 노력으로 상권이 성장시키고 나면 대규모 자금들이 유입되고 주요 대기업 프랜차이즈들이 유입되며 기존의 길 상권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색깔이 퇴색되고 있다. 여기서 밀려난 영세 상인들은 다시 주변으로 이동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길 상권은 길 상권으로 남아 길 상권으로 유지하고 발전할 때 그 빛이 더 찬란할 것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상권이 성장하면 임대료 상승이나 무분별한 개발이 어쩔 수 없다고는 하지만 필자는 그 이익이 노력한 사람에게 돌아가야지 대규모 자본에게 돌아간다면.





윤정혜 기자 yun@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