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아홉 살이었을 때/ 20리를 걸어서 다니던 소학교/ 나는 국어 시간에/ 우리말 아닌 일본말,/ 우리 조상이 아닌 천황을 배웠다// 신사참배를 가던 날/ 신작로 위에 무슨 바람이 불었던가,/ 일본말을 배워야 출세한다고/ 일본놈에게 붙어야 잘 산다고/ 누가 내 귀에 속삭였던가// 조상도 조국도 몰랐던 우리,/ 말도 글도 성까지도 죄다 빼앗겼던 우리,/ 히노마루(일장기) 앞에서/ 알아들을 수 없는 일본말 앞에서/ 조센징의 새끼는 항상 기타나이(더러운 놈)가 되었다// 어쩌다 조선말을 쓴 날/ 호되게 뺨을 맞은/ 나는 더러운 조센징,/ 뺨을 때린 하야시 센세이(선생)는/ 왜 나더러 일본놈이 되라고 했을까// 다시 찾은 국어 시간,/ 그날의 억울한 눈물은 마르지 않았는데/ 다시 나는 영어를 배웠다/ 혀가 꼬부라지고 헛김이 새는 나의 발음/ 영어를 배워야 출세한다고/ 누가 내 귀에 속삭였던가// 스물다섯 살이었을 때/ 나는 국어 선생이 되었다/ 세계에서 제일 간다는 한글,/ 배우기 쉽고 쓰기 쉽다는 좋은 글,/ 나는 배고픈 언문 선생이 되었다/ 지금은 하야시 센세이도 없고/ 뺨 맞은 조센징 새끼의 눈물도 없는데/ 윤동주를 외우며 이육사를 외우며/ 나는 또 무엇을 슬퍼해야 하는가// 어릴 적 알아들을 수 없었던 일본말,/ 그날의 수수께끼는 풀리지 않았는데/ 다시 내 곁에 앉아 있는 일본어 선생,/ 내 곁에 뽐내고 앉아 있는 영어 선생,/ 어찌하여 나는 좀 부끄러워야 하는가// 누군가 영어를 배워야 출세한다고/ 내 귀에 가만히 속삭이는데/ 까아만 칠판에 써놓은/ 윤동주의 서시,/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바라는/ 글자마다 눈물을 흘리고 있다/ 오 슬픈 국어 시간이여

「땅의 연가」 (창작과비평사, 1981)

언어는 그 민족의 혼을 담은 그릇이다. 한민족의 혼을 담은 그릇은 한글이다. 일제식민지하에서 한글이 수난을 당한 건 더 말할 필요조차 없다. 1935년생인 시인은 일제 때 국민학교에 다녔다. 그런데도 소학교라 한 것은 해방 후까지 그 명칭을 사용해온 데 대한 반감이거나 일제와 해방 후를 갈라 놓고 싶은 의도일 것이다.

일제치하에서 조선인의 국적은 일본이었다. 일본어가 국어이고 일본말이 공식적인 나랏말이었다. 국어시간엔 일본어를 가르쳤다. 한글과 한국말은 돌봐 줄 부모 없이 떠도는 고아 신세였다. 무능한 왕과 썩어빠진 지배층 탓에 위대한 한글이 생존마저 위태로운 박해를 당했다. 우리 민족도 부당한 차별과 갖은 멸시를 받았다. 그 시절을 떠올리며 분루를 삼킨다. 지금 분개할 수 있는 것도 어쩌면 나라를 되찾은 덕분일지 모른다. 그나마 불행 중 다행이라면 할 말은 없다.

작금의 상황은 한술 더 뜬다. 비록 강압은 없지만 학생들은 자발적으로 국어보다 영어를 더 열심히 한다. 영어는 출세의 지름길이다. 국어선생은 찬밥신세이고 영어선생은 귀하신 몸이다. 사람들이 기거하는 아파트부터 사소한 가게의 상호까지 온통 영어 천지다. 인터넷으로 연결된 글로벌사회가 영어세상을 더 가속화시킨 터다. 영어가 사실상 국어다.

국어시간에 일본어를 배우면서 눈물을 흘렸던 시인이 해방 후 국어선생이 됐다. 한글이 국어의 지위를 명목상 되찾긴 했지만 이젠 미국의 문화식민지 신세가 됐다. 나오느니 한숨이고 흐르느니 눈물이다. 힘없는 나라에 태어난 운명을 받아들여야 할까, 독을 품고 강한 나라를 만들어야 할까. 딜레마다.

오철환(문인)





서충환 기자 seo@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