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감염병 전문병원 추가 선정을 앞두고 지자체간 유치 경쟁이 치열하다고 한다. 이번에는 대구가 꼭 돼야 한다는 것이 지역 여론이다. 감염병 전문병원의 대구 유치 타당성은 차고도 넘친다. 코로나19 1차 유행 때 큰 피해를 입었고 극복한 경험이 있다. 상징성이 크다. 의료 인프라도 풍부하다. 이만한 적지는 찾기 힘든다는 주장이다.

질병관리청은 다음 달 전국 6개 권역 중 1곳에 감염병 전문병원을 선정키로 했다. 지난해 6월 영남권 공모에 도전했다가 실패한 대구시는 설계비 23억 원까지 확보하고 발 빠른 대응을 하고 있다. 정부·여당에도 대구·경북권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 필요성을 강력 요청하는 등 총력전을 펴고 있다.

대구시는 지난해 2~3월 코로나 1차 대유행 때 안정적으로 확산을 막아 ‘K 방역 모범도시’가 됐다. 드라이브스루 검사와 생활치료센터 등을 전국 첫 운영한 경험이 있다. 당시 획득한 의료 경험과 많은 임상 데이터는 큰 자산이다. 대학병원 5개, 종합병원 12개에 2만4천여 명의 의료 인력 등 대구의 풍부한 의료 인프라도 강점이다. 대구가 적지인 이유다.

지난해 코로나 사태 당시 확인된 권역별 병상 공동 대응, 환자 전원·이송 등 타 지역 간 협업도 매우 중요하다. 신종 감염병이 대유행할 때면 이 같은 역할을 할 권역별 감염병 전문병원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지난해 1차 선정 때는 영남권에서 부산 양산 한 곳만 선정됐다. 영남권은 인구만도 1천300만 명으로 중부권(553만 명)과 호남권(512만 명)을 합친 것 보다 많다. 인구 밀도와 지리적 입지 등을 봐도 당연히 부산 한 곳만으로는 부족하다.

대구·경북 권역에 감염병 전문병원이 설립되면 감염병 발생 시 대응이 원할해 질뿐만 아니라 수준 높고 차별화된 의료 서비스를 펼 수 있다. 또한 메디시티 대구의 의료 기반을 활용, 국내외의 감염병 관리와 정책을 담당하는 교육기관 역할도 기대할 수 있다.

감염병 전문병원은 정부가 예산 409억 원을 투입, 36개 병상(음압병실 30개, 중환자실 6개)을 건립하는 의료시설이다. 감염병 재난 상황이 아닌 평상시에는 일반 병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대구와 경북은 코로나 최대 피해 지역이면서 세계가 극찬하는 K 방역의 주역이다. 대구는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지의 조건을 충분히 갖췄다. 객관적인 조건은 대구가 상당히 유리해 보인다. 하지만 안심할 수만은 없다. 대구시는 지난번 탈락의 아픈 경험을 되풀이하지 않아야 한다.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 논리를 개발하고 보완할 부분은 없는지 살피길 바란다.



홍석봉 기자 dgh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