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시장 불안에 청년층 지자체 공공근로 몰려||희망일자리에 몰린 청년 기존 공공근로의 9배

▲ 지난 21일 대구 동구청 입구에서 희망일자리사업에 채용된 지역 청년들이 주민들에게 발열체크 안내 및 명부 작성 등을 안내하고 있다.
▲ 지난 21일 대구 동구청 입구에서 희망일자리사업에 채용된 지역 청년들이 주민들에게 발열체크 안내 및 명부 작성 등을 안내하고 있다.






최저시급 인상, 주52시간 근무에다 코로나19의 충격이 더해지면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지역의 젊은이들이 지자체가 운영하는 공공 일자리로 몰리고 있다.

얼마 전만 하더라도 젊은이들이 외면했지만 이젠 단기간 일자리인 공공 일자리를 구하려면 치열한 경쟁을 통과해야 하는 시대가 됐다.

청년층이 공공 일자리에 지원하는 것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공공 일자리는 정상적인 취업이 힘든 고령층이나 저소득 취약계층에게 지자체가 임시로 일자리를 제공해 최소한의 생계를 돕는 복지정책이기 때문이다.

특히 최저 임금으로 운용되는 데다 시간 또한 일 4~8시간 정도로 불규칙한 까닭에 그간 노년층이나 장년층의 전유물로 여겨져 왔다.



23일 대구시에 따르면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시가 이달부터 운영에 들어간 ‘대구형 희망일자리’에는 1만6천685명을 뽑는데 2만4천528명이 지원해 약 1.3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이중 청년층(만 18~39세)은 6천11명으로 전체의 25%에 달했다.

이는 대구지역 청년층 공공근로 지원자 수로는 역대 최대치다.

기존 대구시가 운영하던 공공 일자리인 ‘대구형 디딤돌 일자리’ 1차 사업에 지원한 청년층이 689명인 것을 감안하면 거의 9배 가까운 숫자가 몰린 것이다.

이번 희망일자리 사업에 채용된 인원들은 크게 정보화 추진사업과 서비스 지원사업, 환경정화 사업, 안전사고 예방사업 4가지 분야로 나뉜다.

청년층은 대부분 정보화 추진사업과 안전사고 예방사업(생활방역) 분야로 투입된다.

문제는 대구의 일자리 상황이 코로나19 이후 점점 악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동북지방통계청에 따르면 대구·경북의 올 2분기 취업자 수는 257만6천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8만7천400명 감소했다.

모든 산업에서 고용이 줄었고 특히 도소매·음식·숙박업에서 5만6천 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광업·제조업에서 1만2천900개의 일자리가 사라지며 뒤를 이었다. 이 기간 대구·경북 실업자 수는 12만6천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천500명 이상 늘었다.

기업 등의 채용 규모가 확 줄어들다 보니 구직자들이 공공 일자리로 몰리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전국적으로 다시금 재 확산하는 시점에서 단기 공공 일자리만으로 침체의 늪에 빠진 고용 시장을 어디까지 해결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영남대 허창덕 교수(사회학과)는 “이미 최저시급 인상과 주52시간 등 급격한 정부의 정책 변경으로 지역경제의 뿌리가 흔들린 상황에서 코로나19라는 강한 바람이 불어 지금에 이르렀다”며 “코로나19가 끝나면 전체적인 고용 상황이 좋아질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막연한 이상에 가깝다. 중요한 것은 기업인들이 기업 활동을 제대로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승엽 기자 sylee@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