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유일의 화장장인 대구명복공원에 18일 대규모 정전사태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이날 오전 2시간 가까이 화장장 가동이 전면 중단됐다. 비상 발전기도 가동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황당한 사태로 가족을 잃은 유족들의 슬픔과 고통이 가중된 동시에 장례 일정을 지키지 못하는 불편도 피할 수 없었다. 고인의 마지막 가는 길에 제대로 예를 지킬 수 없도록 만든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오로지 시민 행복’을 외쳐온 대구시의 수준이 고작 이 정도 밖에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든다.

명복공원 측은 “시설에 전기를 공급하는 인입선에 문제가 생겨 화장로 가동을 할 수 없었다”며 “정확한 원인을 한전에서 파악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정전사태의 원인을 철저히 규명해 유사 사고가 되풀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아울러 조만간 가동 포화상태에 부닥치게 되는 명복공원의 외곽 이전 문제도 이번 기회에 다시 한번 검토해야 한다.

대구명복공원의 화장 실적은 지난해 1만4천586구(하루 평균 40구)에 이른다. 연평균 4%대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장례문화가 종전 매장에서 화장으로 급속도로 변화하면서 화장 증가는 전국 모든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2017년 기준 대구의 화장 비율은 85%, 전국 평균은 84.6%다.

대구명복공원의 현재 최대 처리능력은 1일 45구, 연간 1만6천425구로 10% 정도 여유가 있다. 그러나 향후 화장 증가율을 매년 2%로만 잡아도 2026년에는 처리능력이 한계에 도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수성구에 위치한 대구명복공원의 시설 노후화 문제는 그간 시의회 등에서 꾸준히 제기돼 왔다. 또 현재의 부지를 매각하고 외곽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도 이어졌다.

대구명복공원은 90여년 전인 지난 1925년 남구 대명동에 처음 설치됐다. 그후 1966년 당시 대구의 외곽이던 현위치로 이전했다.

현재 화장로 11기를 가동하고 있으며 여과집진기, 유인배풍기 교체, 유해가스 및 다이옥신 촉매 교체 등 노후설비 교체와 보강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시설교체로는 한계가 있다. 이용객들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외곽 이전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어느 지역도 선뜻 자기동네로 오라고 손을 내미는 곳이 없다. 모두가 이용하지만 혐오시설로 인식하는 ‘이중 기준’ 때문이다.

이전의 시기를 놓쳐 진퇴양난의 입장에 처하지 않도록 대구시의 중단기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국현 기자 jkh8760@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