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 희강왕과 민애왕||김명은 처남 매부 사이였던 제륭과 손잡고 왕위를 찬탈하고, 다시

▲ 원성왕의 증손자 김명은 6촌 형제이자 처남이었던 김제륭과 손잡고 제륭의 삼촌 김균정을 죽이고, 그를 희강왕으로 옹립했다. 그리고 3년 되던 해에 이홍 등과 협력해 희강왕을 몰아내고 민애왕으로 등극했다. 민애왕릉은 경주 망성리 마을 앞산에 위치해 있다.
▲ 원성왕의 증손자 김명은 6촌 형제이자 처남이었던 김제륭과 손잡고 제륭의 삼촌 김균정을 죽이고, 그를 희강왕으로 옹립했다. 그리고 3년 되던 해에 이홍 등과 협력해 희강왕을 몰아내고 민애왕으로 등극했다. 민애왕릉은 경주 망성리 마을 앞산에 위치해 있다.
일연스님은 삼국유사를 쓰면서 역사적 사실들을 모두 기록하지는 않았다. 왕력편에서 신라 왕들을 시대별로 간략하게 기록하고 있지만 기이 편에서는 왕조사에 대해 소개하면서 흥덕왕 이후 희강왕과 민애왕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헌덕왕과 흥덕왕이 조카인 애장왕을 죽이고 왕위에 올라 신라하대 왕위를 두고 일어난 비사의 출발을 보였다. 흥덕왕에 이어 희강왕은 민애왕과 손을 잡고 삼촌 균정을 죽이고 왕위에 올랐지만 함께 뜻을 모았던 민애왕에게 죽임을 당하고 쓸쓸히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사리기에서 민애왕에 대한 기록이 나왔다. 비로암은 장보고를 등에 업은 김우징과 김양의 세력에 즉위 1년만에 죽임을 당하자 그 넋을 위로하기 위해 건립한 사찰이다.
▲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사리기에서 민애왕에 대한 기록이 나왔다. 비로암은 장보고를 등에 업은 김우징과 김양의 세력에 즉위 1년만에 죽임을 당하자 그 넋을 위로하기 위해 건립한 사찰이다.
모두 원성왕의 직계 후손들이지만 워낙 얽히고설킨 싸움을 벌여 혈육이라고 하기에도 민망할 정도다. 후손으로 부끄럽기까지 하다.

삼국유사 기록에는 없지만 역사에서 삭제할 수 없는 흐름이라 희강왕과 민애왕에 대한 이야기를 새로 쓰는 삼국유사에서 다루어본다.

▲ 희강왕릉은 왕릉이라고 인정하기에 너무 초라하다. 그 흔한 호석조차 없이 산비탈에 곧 흘러내릴 듯 경사진 곳에 일반적인 왕릉과 비교해 규모도 아주 작은 편이다.
▲ 희강왕릉은 왕릉이라고 인정하기에 너무 초라하다. 그 흔한 호석조차 없이 산비탈에 곧 흘러내릴 듯 경사진 곳에 일반적인 왕릉과 비교해 규모도 아주 작은 편이다.
◆희강왕

희강왕의 성은 김, 이름은 제륭이고 시호는 희강(僖康)이다. 신라 제38대 원성왕의 증손자로 조부는 원성왕의 셋째아들인 김예영이다. 아버지는 이찬 김헌정이다. 비는 흥덕왕의 동생 김충공의 딸인 문목부인 김씨이다. 6촌 누이를 비로 맞이한 것이다. 자식으로는 제48대 경문왕의 아버지인 아찬 김계명이 있다.

희강왕은 836년 12월에 당숙인 흥덕왕이 아들 없이 죽자 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당시 희강왕은 숙부인 상대등 김균정과 왕위 계승을 위해 전쟁을 벌였다. 시중이던 김명, 아찬 이홍과 배훤백 등이 희강왕을 지지해 승리했다.

▲ 민애왕릉과 경계를 긋듯 산책로가 가로지르고 있는 지점에서 남쪽으로 300m 정도 내려오면 희강왕릉이 위치해 있다. 진입로는 편안한 산책로로 소나무 숲 속의 오솔길로 조성되어 있다.
▲ 민애왕릉과 경계를 긋듯 산책로가 가로지르고 있는 지점에서 남쪽으로 300m 정도 내려오면 희강왕릉이 위치해 있다. 진입로는 편안한 산책로로 소나무 숲 속의 오솔길로 조성되어 있다.
아찬 김우징(제45대 신무왕)과 김예징, 김양 등은 김균정을 지지했다. 김우징은 적판궁에서 아버지 김균정을 왕으로 세우고 김양 등과 함께 왕위 쟁탈전에 나섰다.

김명과 이강 등은 적판궁을 에워싸고 공격해 김균정을 죽이고 제륭을 희강왕으로 옹립했다.

그러나 희강왕의 재위 기간에 왕위 계승을 둘러싼 왕실 내부의 갈등은 더욱 확대되었다. 김균정의 아들인 김우징은 가족들과 함께 황산진으로 도망쳐 배를 타고 청해진, 지금의 완도로 건너가 장보고(張保皐)에게 의탁했다. 김균정의 매제인 아찬 김예징도 아찬 김양순과 함께 김우징의 세력에 합류했다. 한기로 도망친 김양도 산속에 숨어 세력을 모으며 복수를 꾀하다 청해진으로 와서 합류했다.

왕실 내부의 갈등으로 정치적 불안정이 지속되는 가운데 838년(희강왕 3) 정월에 상대등 김명과 시중 이홍 등이 군사를 동원해 반란을 일으켜 희강왕의 측근들을 죽였다.

희강왕은 자신도 무사하지 못할 것을 알고 궁중에서 목을 매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희강왕은 소산에 매장되었다. 오늘날 경주시 내남면 망성리에 있는 희강왕릉은 사적 제220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희강왕이 죽은 뒤에는 상대등 김명이 왕위에 올라 제44대 민애왕이 되었다. 그는 김충공의 아들로 희강왕의 왕비인 문목부인과는 남매 관계로 희강왕과는 처남 매부가 된다.

▲ 민애왕릉은 규모는 그렇게 크지는 않아도 호석이 봉분을 받치고 있으면서 잘 정비되어 단아한 느낌을 준다.
▲ 민애왕릉은 규모는 그렇게 크지는 않아도 호석이 봉분을 받치고 있으면서 잘 정비되어 단아한 느낌을 준다.
◆민애왕

민애왕의 성은 김, 이름은 명(明), 시호는 민애(閔哀)이다. 신라의 제38대 원성왕의 증손자로 조부는 원성왕의 맏아들인 혜충태자 김인겸이며, 부친은 제39대 소성왕과 제41대 헌덕왕, 제42대 흥덕왕의 동생인 대아찬 김충공이다. 어머니는 귀보부인 박씨이며, 비는 윤용왕후 김씨이다.

제43대 희강왕의 왕비인 문목부인, 제47대 헌안왕의 생모인 조명부인과는 남매 사이이다. 제40대 애장왕과는 사촌 사이이다.

▲ 민애왕릉 가는 길은 희강왕릉 가는 길과 비슷하게 소나무 숲이 우거진 낮은 언덕을 오르는 산책길로 조성되어 있다.
▲ 민애왕릉 가는 길은 희강왕릉 가는 길과 비슷하게 소나무 숲이 우거진 낮은 언덕을 오르는 산책길로 조성되어 있다.
민애왕은 흥덕왕 때인 835년 자리에서 물러난 김우징(제45대 신무왕)을 대신해 시중으로 임명되었다. 그리고 836년 음력 12월에 흥덕왕이 적장자가 없는 상태에서 죽자 이홍, 배훤백 등과 함께 군사를 일으켜 희강왕을 왕으로 세웠다.

민애왕은 아찬 이홍과 함께 적판궁을 에워싸고 김우징 일파를 공격해 김균정을 죽이고 희강왕을 왕위에 앉혔다. 이러한 공으로 희강왕이 왕위에 오른 뒤에 상대등으로 임명되었다.

하지만 838년(희강왕 3) 음력 정월에 시중의 자리에 있던 이홍과 함께 다시 군사를 동원해 반란을 일으켜 희강왕으로 하여금 목숨을 끊게 하고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민애왕이 희강왕을 죽이고 왕위를 빼앗자 청해진(지금의 완도)의 장보고에게 피신해 있던 김우징과 김예징, 김양 등은 장보고를 설득해 군사를 일으키게 했다. 장보고는 친구인 정년(鄭年)에게 5천의 군사를 주어 반란을 일으켰다.

민애왕은 이찬 대흔과 대아찬 윤린, 억훈 등을 보내 김양의 군대를 막도록 했으나 연이어 크게 패했다. 결국 민애왕은 측근들이 뿔뿔이 흩어진 상태에서 월유택으로 도주했으나 병사들에게 잡혀 목숨을 잃었다. 이홍도 가족을 버리고 산으로 도망쳤으나 붙잡혀 죽음을 맞았다.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납석사리호(보물 제741호)에는 민애왕의 행적을 나타낸 명문이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그 기록에 따르면 민애왕은 839년 음력 1월23일에 죽었고 당시 나이는 23세였다고 한다. 삼국유사 ‘왕력’ 편에는 음력 1월22일에 죽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민애왕이 죽은 뒤 김우징이 제45대 신무왕으로 왕위에 올랐고, 신하들은 예를 갖추어 민애왕의 장사를 지냈다. 민애왕의 장지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데 경주시 내남면 망성리의 고분이 민애왕의 왕릉으로 전해지며 사적 제190호로 지정되어 있다.

▲ 신라 43대 희강왕과 44대 민애왕은 동지였다가 적이 되어버린 묘한 관계다. 묻힌 곳을 정확하게 알지는 못하지만 같은 능선에 500여m 거리를 두고 묻혀 있다. 희강왕릉과 민애왕릉의 갈림길.
▲ 신라 43대 희강왕과 44대 민애왕은 동지였다가 적이 되어버린 묘한 관계다. 묻힌 곳을 정확하게 알지는 못하지만 같은 능선에 500여m 거리를 두고 묻혀 있다. 희강왕릉과 민애왕릉의 갈림길.
◆새로 쓰는 삼국유사: 원성왕 후손 처남 매부간의 전쟁

신라 43대 희강왕과 44대 민애왕은 원성왕의 증손자로 각자 할아버지가 친형제인 6촌 간이다. 또 희강왕의 비는 민애왕의 여동생이어서 둘은 처남 매부 사이다. 이점은 김유신과 김춘추의 관계와 같다.

처남과 매부가 손을 잡고 희강왕 제륭의 삼촌인 김균정을 죽이고 왕위에 오를 때까지는 사이가 좋았다. 민애왕은 희강왕을 왕위에 오르게 한 공을 인정받아 상대등의 벼슬에 올라 실질적인 최고 권력자로서의 실권을 잡았다.

▲ 민애왕을 기리기 위한 비로암과 비로암 삼층석탑이 위치하고 있는 동화사의 대웅전과 법계도.
▲ 민애왕을 기리기 위한 비로암과 비로암 삼층석탑이 위치하고 있는 동화사의 대웅전과 법계도.
민애왕은 아버지 충공이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죽자, 늘 왕권에 대한 미련을 가슴에 품고 살았다. 기회는 꿈꾸는 자의 몫인 양 희강왕의 정치적 타락으로 쉽게 찾아왔다.

민애왕 김명이 상대등에 올라 실권을 장악하고 있을 때, 그의 여동생이자 왕비였던 문목왕후가 그를 찾아왔다. 희강왕이 정사를 돌보지 않고 여색에 빠져 자기를 천대한다는 것이었다.

김명은 불같이 화를 내면서 아찬 이홍과 함께 군사를 동원해 반란을 일으켰다. 모든 병사들을 움직이는 권한을 가지고 있었던 김명에게 궁궐을 접수하는 일은 여반장이었다.

희강왕은 제대로 보고조차 받지 못하고, 불길에 휩싸이는 자신의 침소를 보아야 했다. 순식간에 일어난 반란의 우두머리가 처남 김명이라는 것을 알아차렸다. 도저히 타협의 여지가 없다는 것을 깨달은 희강왕은 숨을 엄두도 내지 못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민애왕도 왕좌에 올라 3년을 버티지 못하고, 해상왕 장보고의 군사를 등에 업고 쳐들어오는 김우징과 김양의 칼끝을 피하지 못하고 전쟁통에 시해됐다. 칼로 흥한 자 칼로 망한다는 진실을 목숨으로 보여준 비극이다.



강시일 기자 kangsy@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