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메디시티 상생포럼서 전문가들 지적||신약개발 데스밸리 건너려면 첨복재단 전폭 지원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이하 대구첨복단지)를 운영하는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하 대구첨복재단) 자립화에 대해 심도 있는 토론이 진행됐다.



정부의 자립화 요구가 자칫 대구첨복재단의 설립취지를 흔들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의견이다.



17일 오후 대구첨복재단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메디시티 상생포럼’에서 김정애 영남대 약학대학 교수는 ‘신약개발지원센터 지원 사례’에 대해 발표했다.



김 교수는 이날 “지역 약학대학들이 후보물질 발굴 등에서 대구첨복단지 신약개발지원센터의 지원이 크다”며 “과거 약대에서 엄두도 못 내던 후보물질에 대한 평가와 테스트 등을 신약개발지원센터에서 가능해져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그러나 지난해부터 정부의 대구첨복재단 자립화 압박으로 신약개발지원센터 등 대구첨복단지 내 건설된 정부지원센터들이 기업이나 대학을 지원하는데 위축될까 걱정이다”며 “신약개발에 있어 가장 힘든 시기인 데스밸리를 건너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대구첨복단지가 만들어졌는데, 자립화로 인해 이같은 지원이 힘든 상황에 벌어지면 설립취지가 흔들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구첨복재단 설립당시 해외파 등 우수한 인력들이 많이 고용됐으나 이후 급여가 적고 지방 정주여건의 한계를 못 넘어 대부분 퇴사했다”며 “우수한 인력들이 대구첨복재단에 영입될 수 있도록 급여 등 대우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귀용 대구시 의료허브조성팀장은 “대구시 등이 메디시티 상생기금 230억 원 조성했으며, 매년 3억 원 정도 이자가 발생하고 있다”며 “이 기금으로 대구첨복재단에 우수한 인력을 영입하는데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김영주 의학신문 국장은 “대구첨복재단의 자립화는 양날의 칼인 것 같다. 대구첨복단지가 본연의 취지를 되살리기 위해서는 제약사나 대학들이 신약개발의 데스밸리를 넘어갈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정부가 재단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주형 기자 leejh@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