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청과 북구청 등 2011년 구제역 가축 매몰지 발굴 복원 나서||구제역 매몰지 대상 미

▲ 2011년 구제역 파동 당시 다수의 돼지가 살처분 된 대구지역 가축 매몰지의 발굴·복원 작업이 다음달 진행돨 예정이다. 사진은 대구 북구 연경동에 위치한 가축 매몰지 모습.
▲ 2011년 구제역 파동 당시 다수의 돼지가 살처분 된 대구지역 가축 매몰지의 발굴·복원 작업이 다음달 진행돨 예정이다. 사진은 대구 북구 연경동에 위치한 가축 매몰지 모습.
▲ 2011년 구제역 파동 당시 다수의 돼지가 살처분 된 대구지역 가축 매몰지의 발굴·복원 작업이 다음달 진행돨 예정이다. 사진은 대구 북구 연경동에 위치한 가축 매몰지 철조망에 부착된 출입금지판 모습.
▲ 2011년 구제역 파동 당시 다수의 돼지가 살처분 된 대구지역 가축 매몰지의 발굴·복원 작업이 다음달 진행돨 예정이다. 사진은 대구 북구 연경동에 위치한 가축 매몰지 철조망에 부착된 출입금지판 모습.
▲ 2011년 구제역 파동 당시 다수의 돼지가 살처분 된 대구지역 가축 매몰지의 발굴·복원 작업이 다음달 진행돨 예정이다. 사진은 대구 북구 연경동에 위치한 가축 매몰지 모습.
▲ 2011년 구제역 파동 당시 다수의 돼지가 살처분 된 대구지역 가축 매몰지의 발굴·복원 작업이 다음달 진행돨 예정이다. 사진은 대구 북구 연경동에 위치한 가축 매몰지 모습.
2011년 구제역 파동 당시 다수의 돼지가 살처분 된 대구지역 가축 매몰지의 발굴·복원 작업이 다음달 진행돨 예정이다.



가축 매몰지의 침출수 유출과 토양오염 등으로 인한 환경피해를 막고자 하는 목적이다.



10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대구지역 가축 매몰지는 동구 2곳, 북구 1곳, 수성구 1곳, 달성군 1곳 등 모두 5곳이다.



이 중 2011년 구제역 파동으로 인해 조성된 가축 매몰지는 동구 도동과 북구 연경동 2곳으로 각각 돼지 500여 마리와 100여 마리를 매몰한 것으로 확인됐다.



가축 매몰지는 지자체에서 3년간 운영·관리하도록 되어 있다.



이곳들은 2014년 환경오염검사 당시 음성으로 판명돼 관리구역에서 해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동구청과 북구청은 매물지에 대한 민원 해소와 토양 오염 및 악취 방지 차원에서 다음달까지 업체를 선정해 매물지에 매립된 돼지 가축의 사체를 수습하고 열처리 방식으로 잔존물을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발굴지에서 바이러스 감염체가 검출되면 사업은 중단된다.



하지만 발굴·복원작업 시기를 두고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다.



최근 아프리카 돼지열병(ASF)의 공포가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9년 만에 발굴 사업을 진행함에 따라 주변지역 주민들의 동물 바이러스 피해에 대한 불안감도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돼지열병의 원인이 정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상태에서 혹여 가축 매몰지가 유실되거나 침출수 유출로 인해 전염병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태라 지역민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는 것.



북구 연경동에 거주하는 한 주민은 “가축 매몰지에서 나오는 침출수와 악취로 몇 년 동안이나 고생했다”며 “최근 돼지열병의 원인이 가축 매몰지의 침출수로 인한것 아니냐는 소문까지 나돌고 있어 또다른 피해를 당하지 않을까 걱정이 된다”고 말했다.



허창덕 영남대 사회학과 교수는 “돼지열병 등으로 인한 대중적 공포를 줄이기 위해 병의 원인이 무엇인가를 확실히 알고, 방역 체계와 매뉴얼 관리 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바이러스의 결과를 상세히 공고하는 등 주민들에게 불안감을 주지 않기 위한 안전관리 대책이 필요한 상태”라고 밝혔다.



한편 북구청 관계자는 “돼지열병 파동과 상관없이 매몰지의 발굴·복원 작업은 올해 진행할 예정이었다”며 “아직 돼지열병의 바이러스와 가축 매몰지 오염과의 정확한 상관관계가 나오지 않은 상태지만, 매몰지 관리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동현 기자 leedh@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